이준석,국민의힘 탈당…“총선 전 재결합은 없어”

“가칭 ‘개혁신당’ 창당 준비 신고서 선관위에 제출”
“총선 불출마는 염두에없다…세 번 낙선한 도전자”

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27일 탈당 및 신당 창당을 선언했다.

이 전 대표는 이날 오후 3시 서울 노원구 상계동 한 고깃집에서 기자회견을 열고

“저는 오늘 국민의 힘을 탈당한다. 동시에 국민의힘에 제가 가지고 있던 모든 정치적 자산을 포기한다”며

“앞으로 저만의 넥스트스텝(NeXTSTEP)을 걷겠다”고 밝혔다.

이 전 대표는 “정치를 시작한 지 12년째 되는 오늘을 그 날로 정해놓고, 지난 몇 달간 많이 고민했다”고 했다.

이 전 대표가 탈당과 신당 창당 계획을 선언한 날짜와 장소는 남다른 의미가 있다.

상계동을 포함한 노원병은 이 전 대표가 세 차례 국회의원 선거에 도전했으나 모두 낙선한 곳이다.

12년 전 12월 27일은 이 전 대표가 19대 총선을 앞두고 출범한 새누리당(국민의힘 전신) 비상대책위원회에

최연소로 합류한 날이다.

이 전 대표는 “오늘 제 선택은 제 개안에 대한 처우, 저에게 가해진 아픈 기억 때문에 하는 것이 아니다”며

“저는 고개를 들어 과거가 아닌 미래를 봤다”고 했다.

그는 국민의힘으로부터 ‘총괄 선거댗랙위우너장’ 등의 자리를 제안받았다고 밝혔다.

이 전 대표는 “저는 탄핵을 겪으며 비선은 있고 비전은 없는 대한민국을 다시는 용납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.

선출되지 않은 누군가가 모든 유무형의 권력을 휘두르며 대한민국을 쥐락펴락하는 모습,

그 사람 앞에서 법과 상식 마저 무력화되는 모습이 반복되는 것은 다시는 경험하고 싳지않은 트라우마”라고 했다.

그는 “지금도 누군가는 대한ㅁ빈국의 위기 속에서도 상대를악으로 상정하고 청산하는 것을 소명으로 생각하고

그 방향으로 시민들을 이끌려고 한다”며 “하지만 말 위에서 천하를 얻었다고 해도 계속 말 위에서 다스릴 수는 없는 노릇이다.

대통령 선거가 끝난 지 2년이 다 되어가는 데도 왜 적장을 쓰러뜨리기 위한 극한 대립,

갈잡이의 아집이 우리의 언어가 되어야 합니까” 라고 했다.

이어 그는 ‘신당에서는 이 위기를 정확하게 직시하고 당당하게 표 떨어지는 이야기 하겠다.

해열제와 진통제를 남발하여 이제는 주삿바늘을 꽂을 혈관도 남아있지 않은 대한민국의 중차대한 문제들을 솔직하게 다루겠다”고 했다.

또 “누군가는 또다시 콜로세움에서 상대를 빌러능로 만드는 정치를 하고자 한다면

저는 일백번 고쳐 줒는 한이 있어도 그 사람의 멱살을 잡고 아고라로 들어와 미래를 이야기하도록 강제하겠다”고 했다.

 

이 전 대표는 이후 취재진과 질의응답을 하면서 ” 이 시각 과천시에 있는 선거관리위원회에서는

저희측 관계자가 창당준비위원회 결성신고서를 낼 것”이라며 가칭 ‘개혁신당’ 이름으로 발족했다”고 했다.

“특히 그는 “양향자 의원, 금태섭 전 의원과 긴밀하게 소통하고 잇다”고 밝혔다.

그는 “적어도 (국민의힘과) 총선 전 재결합 시나리오라는 것은 부정하고 시작한다는 말씀을 드린다”고도 했다.

이 전 대표는 ‘국민의힘 한동훈 비대위원장은 불출마를 선언했는데, 불출마할 것이냐’는 질문에

“저는 불출마는 염두에 없다. 저는 세 번 낙선을 경험한 도전자”라며 “이번에도 총선 승리를 위해 도전하는 건 당연하다”고 했다.

다만 서울 노원병에 출마하느냐는 질문에 “저는 상계동에서 출마하겠다는 생각을 잠시도 버린 적이 없다”면서도

“근데 신당을 창당하는 과정에 있다 보니, 신당을 하면 여러 다른 역할이 부여될 것이라 거취 선택을 할 것이고

상계동을 떠나는 선택을 해야 한다면 상계동 주민들에게 지체없이 알릴 것”이라고 했다.

 

한편 국민의힘은 27일 이준석 전 대표의 탈당 및 신당 창당 선언에 “앞으로 뜻하는 바 이루시기를 바란다”고 밝혔다.

박정하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후 구두논평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.

그는 “이 전 대표님은 우리 당에서 오랫동안 당원으로 활동해 오셨다’며 “그동안의 활동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한다”고도 했다.

국민의힘의 이같은 덕담은 이 전 대표 탈당에 따른 비판 여론을 희석시키는 동시에,

한동훈 비대위원장이  이 전 대표의 기반인 청년층에 소구력이 갖고 있어

별다른 타격이 없을 것이라는 자신감의 표출 아니냐는 해석을 낳고 있다.

김주용 기자 jykim@scorep.net

답글 남기기